컴퓨터 하드 인식 문제 모습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바탕화면에 내 PC 아이콘을 통하여 진입하거나 파일 탐색기를 눌러서 진입하게 되면요. 갑자기 기존에는 안 뜨던 창들이 뜰 수 있는데요. 그 창안에 내용들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보통은 아래처럼 위치를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오거나.. 액세스 할 수 없다고 나오거나.. 매개 변수가 틀리다고 나오거나.. 포맷하라는 메시지가 나오거나 합니다.
여기서 좀더 살펴보게 된다면요. 디스크 관리라는 곳에 들어가서 확을 해볼 수 있는데요. 아래처럼 디스크 0과 같이 해당 부분에는 이상이 없어 보이나 우측 볼륨 부분에는 용량이 보이지만 할당되지 않음으로 되어 있기도 합니다.
또한 아래처럼 디스크 0과는 다르게 디스크 1이 알 수 없음, 초기화 안 됨이라고 되어 있고 디스크 초기화 창이 나오기도 하고요. 어쨌든 이런 하드 인식 문제들은 여러 원인들이 있기에 이것들만 보고는 어떤 원인인지 단정 지을 수는 없으나.. 이런 모습들조차 보이지 않거나 할당되지 않음 조차 나오지 않고 아무것도 없는 경우라면 물리적인 원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증상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컴퓨터 하드디스크인식 안 되는 이유들을 알아보아요
1) 논리적인 하드 문제
■사용자 시점에서 고장 상황
" 저 이거 데이터복구 관련해서 연락드렸는데요. 4TB SATA 케이블 꼽는 하드거든요. 아까까지는 괜찮았었는데 갑자기 매개 변수 오류가 뜨면서 인식은 되는데 폴더가 안 열리거든요. 파일 탐색기가 뻗어 버리는 증상이에요. "
▶실제 원인 확인한 결과
보통 파일탐색기에서 얼어붙는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물리적인 이유가 많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고 단순히 논리 구조 정보 값이 꼬여 있어서 그런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물리적인 배드로 인한 하드디스크인식 불량 문제
■사용자 시점에서 고장 상황
" 하드디스크 복원과 관련해서 홈페이지 보고 연락드리는데요. 들고 가서 진단을 받기 전에 결과를 알 수 있는지.. 작업이 다 끝난 후 결과를 알 수 있는 건가요? 네. 며칠 전부터 그러더니 지금은 아예 읽지를 못해요. "
▶실제 원인 확인한 결과
: 현재도 작업 중인 건이긴 한대요. 0번 ~ 05번 HEAD가 존재를 하고 있고 총 3장의 플래터.. 즉 6면에 데이터가 기록이 되고 있었습니다. 그중에 아래 사진처럼 배드섹터가 존재하는 플래터가 마지막 플래터의 아랫면이고요. 그곳에 해당하는 04번 HEAD까지 상태가 불량한 상황입니다. 아마도 문제를 인지한 뒤에 자체 백업을 하려다가 HEAD가 더 손상이 되고 Sector들이 더 불량해진 것으로 보이네요.
3) 내부 부품 등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인식 불량
■사용자 시점에서 고장 상황
" 네. 수고하십니다. 사이트 보고 물어보는데요. 고이모셔 놓은 하드디스크인데 오랜만에 연결해서 그런 건지 안 되네요. 옛날 사진들을 찾고 싶은데요. "
▶실제 원인 확인한 결과
: 가져오신 HDD를 확인해보니 띠띠 소리가 나면서 구동이 안되는 상태였습니다. 아마도 오래전에 고열 또는 충격에 따른 스틱션 증상이 생겼던 것으로 보이고요. 그 모습은 아래 사진처럼 DATA가 보존된 부분과 그것을 읽고 쓰는 HEAD가 맞붙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H/W적인 수리가 기본적으로 진행되는데요. 지금처럼 10년 넘게 너무 오래 보관하고 가져오시게 되면 아무래도 그에 맞는 자재가 없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칫 그 문제로 복구가 안될 수도 있으니까요.
여담으로 이 건의 경우, 배드가 있는 구간도 최대한 그 값을 획득하였으나 사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DATA가 해당 저장매체에 없어서 작업 비용만 지불이 되었는데요. 비용도 비용이지만 이처럼 시간이 오래되면 사람의 기억이 왜곡되어 찾고자 하는 DATA가 있던 저장매체를 폐기할 수도 있기에 되도록이면 고장 발생 시 바로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하드디스크인식 안될 때 해결 방법 및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요?
연결된 케이블이 HDD와 잘 연결되었는지 여부와 케이블의 불량 여부 확인하기!
만일 전원, SATA 케이블 두개가 잘 연결되었는데도 이상이 있거나 케이블을 교체했는데도 증상이 동일하다면 더 이상 전기가 안 들어가도록 분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H/W적인 불량일 가능성이 높아 자칫 DATA가 기록된 부분이 손상될 수도 있으니까요.
각 섹터별 배드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확인해보기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면 여러 프로그램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로 간단히 테스트 해보고 진행이 안되거나 BAD Sector가 검출된다면 그 즉시 전원 끄고 분리하시는 걸 권합니다. 아까 사례처럼 더 확산되고 HEAD까지 죽을 수 있으니까요.
처음 구매한 HDD의 경우라면?
여러 저장매체가 연결되어 있거나 등의 이유가 아니라면 아까 서두에 보신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서 MBR or GTP로 초기화하신 후, 우측에 새 볼륨을 만들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데이터복구 사례들 > 외장하드, HDD 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미추홀구 데이터복구 st500lt012 (0) | 2021.08.24 |
---|---|
Milli 외장하드 인식 불량 매개 변수가 틀립니다 해결과 주의점 (0) | 2021.04.28 |
삼성 하드디스크 고장 HD502HJ 연결해도 다운됨 복원되나요? (0) | 2021.03.18 |
ST1000DM003 인식 안됨 시게이트 하드 배드섹터가 이유 (0) | 2021.03.12 |
시게이트 외장하드 인식 불가 복구될 수 있어요 (0) | 2020.07.31 |